Surprise Me!

[왓슈] 지갑에 돈 좀 있냐? 현금없는 사회 성큼! / YTN

2023-06-10 389 Dailymotion

Q. 지갑에 현금 얼마 정도 갖고 계세요? <br />[금교연 / 서울시 양천구 : 현금 전혀 없습니다] <br />[남석현 / 서울시 마포구 : 현금 없어요. (현금 없으세요?) 카드로 다 계산을 해서 현금을 딱히 안 들고 다녀요] <br />[조주현 / 인천시 남동구 : 최근에 복권 살때] <br />[남석현 / 서울시 마포구 : 코인 노래방 갈 때 말고는...] <br />[금교연 / 서울시 양천구 : 결혼식 갔을 때 축의금 낸 거] <br /> <br />현금 없는 사회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우리나라 현금 사용 비중은 매년 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현금지출액은 2015년 81만원에서 2021년 51만원으로 감소했고 현금 사용이 줄면서 자연스레 신용, 체크카드 사용 건수와 금액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지출액의 카드 비중은 2015년 37.4%, 2021년 58.3% 로 전체 지출액의 절반이 넘은 지 오래입니다. <br /> <br />현금 사용이 줄다 보니 서울을 비롯한 몇몇 지자체에서 현금 없는 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고, 심지어는 현금 없는 식당, 카페 등도 심심치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각종 간편 결제 수단들이 생겨 지갑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될 정도인데요 페이 서비스 전쟁이라고 불릴 만큼 많은 기업이 간편결제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22년 기준 전년 대비 18.2% 증가했는데 코로나19 감염병 영향으로 비접촉 방식을 선호한 이유도 있지만, 간편 결제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분실, 도난 위험이 적고 현금 관리 수고와 비용, 회계 투명성 등... <br /> <br />이렇듯 장점들만 있다면 현금 없는 사회로 전환 서둘러야 하지 않을까요? <br /> <br />[이창민 / 한국은행 발권국 발권정책팀 : 현금 없는 사회가 도래할 경우 고령층, 장애인, 저소득층, 벽지 지역 거주자 등 현금 의존도가 높은 취약 계층의 금융 소외와 소비활동 제약 문제가 심화할 것으로 우려됩니다.] <br /> <br />소득이 없는 고령층은 신용카드 발급 제약이 있고 비현금 지급수단 이용 방법 미숙으로 현금 사용 비중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70대 이상의 경우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이용 해본 비율이 15.4%에 그칠 정도로 저조합니다. <br /> <br />[고령층 : 현금 쓰는 게 낫지, 편하고] <br /> <br />[고령층 : 현금 쓰죠,, 카드 쓸 줄도 몰라요] <br /> <br />또 소수 기업에 의한 독과점,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있고, 대규모 정전 시 지급 수단의 부재가 생길 수 있습니다 <br /> <br />실제로 2018년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창 (leesc7412@ytn.co.kr)<br />제작 : 이승창<br />AD : 박채민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1107162463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